메뉴 건너뛰기

광주기독병원 비뇨의학과 전문의 박성운입니다

비뇨기 질환을 소개합니다

요로결석 예방

2022.11.11 12:13

drswp 조회 수:5

요로결석 예방 식이

 

광주기독병원 비뇨의학과 박성운

 

요로결석(尿路結石)의 발생 빈도는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7~9월이 가장 많고, 8월에 최고치를 나타냅니다여름철에는 땀을 흘리면서 소변의 농도가 진해지고햇볕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면서 비타민D의 형성이 증가하고따라서 소변으로의 칼슘 배출이 많아지면서 요로결석이 더 잘 생기게 됩니다요로결석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칼슘

요로결석의 가장 흔한 성분은 칼슘 수산(蓚酸,옥살레이트)입니다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칼슘 섭취를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그 반대입니다낮은 칼슘 섭취는 칼슘 결석 형성의 위험 인자이며 고칼슘 결석이 있는 환자에서는 적당량의 칼슘 섭취가 필요합니다칼슘이 부족한 식단은 장내 옥살산염 흡수를 증가시키고 요 중 옥살산염 배설을 증가시킵니다저칼슘 식이는 요로결석 위험과 골다공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그러나 칼슘 보충제(영양제)는 결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꼭 먹어야 한다면 칼슘 보충제를 먹더라도 식사와 함께 먹는 것은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단백질

동물성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산성이며 요산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높은 요산은 요산 결석과 칼슘 수산 결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재발성 결석이 있는 환자의 경우 단백질 섭취를 <1.0g/kg/day로 낮추는 것이 적극 권장됩니다.

 

■ 염분(소금)

3.0g/day 이상의 높은 염분(소금섭취는 요 중 칼슘 배설을 증가시켜 결석 형성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해 짜게 먹는 습관을 줄이고식품의 라벨을 주의 깊게 읽어야 합니다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칩이나 크래커와 같은 가공 식품
  • 통조림 수프통조림 야채
  • 조미료
  • 글루탐산나트륨질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이 함유된 식품

 

 

■ 수분

하루 2L 이상(하루에 8잔 정도)의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낮은 수분 섭취량탈수 및 높은 소변 삼투압 농도 역시 칼슘과 수산(oxalate)의 농도를 증가시켜 요로결석 발병의 중요한 위험 요인입니다운동을 많이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린 경우여름철에는 추가적인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그러나 가당(加糖음료(sweetened beverages)나 맥주는 결석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비타민C

과량의 비타민섭취는 요 중 수산(oxalate) 배설을 증가시켜 칼슘 수산 결석의 위험 원인으로 간주됩니다.

 

■ 구연산(枸櫞酸시트르산 citric acid)

소변에 구연산 농도가 낮으면 칼슘 결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재발성 요로결석의 약 20-25%가 이런 이유 때문에 발생합니다만성 설사장기간 이뇨제 사용 등으로 초래될 수 있습니다신맛이 나는 레모네이드나 오렌지 쥬스감귤 쥬스에 구연산이 풍부합니다.

 

■ 수산(蓚酸옥살산, oxalic acid)

일부 요로결석은 음식에서 발견되는 옥살산염으로 만들어지며이는 소변의 칼슘과 결합하여 요로결석을 형성합니다따라서 옥살산염이 풍부한 음식을 제한하면 결석 형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옥살산염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다음과 같습니다시금치초콜릿고구마커피땅콩 등입니다.

 

■ 장기간 복용하는 특정 약물

특정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면 요로결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이런 약물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처방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 충혈 완화제
  • 이뇨제
  •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 항경련제
  • 스테로이드
  • 화학 요법 약물
  • 요산 배설 촉진제

 

 

하루 2L 이상(하루에 8잔 정도)의 충분한 수분 섭취소금 및 단백질 섭취 감소는 모든 형태의 요로결석 방지의 최선책으로 여겨집니다

© 2021 www.doctorpark.or.kr 비뇨의학과 전문의 박성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 방광염 drswp 2022.11.11 13
12 미세혈뇨 (잠혈) drswp 2022.11.11 9
11 급성 전립선염 drswp 2022.11.11 11
10 정계정맥류 (덩굴정맥류) drswp 2022.11.11 5
9 전립선암 drswp 2022.11.11 15
8 음낭수종 drswp 2022.11.11 5
7 과민성 방광 drswp 2022.11.11 9
» 요로결석 예방 drswp 2022.11.11 5
5 요로결석 drswp 2022.11.11 8
4 급성 신우신염 drswp 2022.11.11 4
3 신장암 (콩팥암) drswp 2022.11.11 7
2 방광요관역류 drswp 2022.11.11 3
1 방광암 drswp 2022.11.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