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암 (콩팥암)
2022.11.11 12:11
신장암(콩팥암, Kidney Cancer)
◈ 신장암의 원인
원인은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흡연은 잘 알려진 위험인자입니다. 폰 히펠-린다우병, 말굽콩팥(마제신), 다낭신장병, 후천성 신낭종병 등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증상 또는 징후
가장 잘 나타는 증상과 징후는 혈뇨, 복부 또는 옆구리 통증, 그리고 복부에서 혹이 만져지는 것입니다. 이 증세가 전통적 세가지 징후로 전체 환자의 10-15%에서 나타납니다. 이미 전이가 있는 환자는 폐 또는 뼈 전이의 증상, 예를 들면 호흡 곤란, 기침 또는 뼈 통증 등이 있습니다. 신장암은 신생물딸림(paraneoplastic) 증후군이라고 해서 적혈구증가, 고칼슘혈증, 고혈압, 간기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진단
종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법 결정을 위해 병기(stage) 결정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검사는 문진, 신체검사, 전체혈구계산(CBC), 신장 및 간기능검사, 소변검사, 흉부 엑스선 검사, 복부와 골반부위 컴퓨터촬영 입니다. 뼈에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추가적인 검사로 뼈 스캔, 신장 주위의 혈관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로 자기공명영상촬영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치료
가장 표준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는 암덩어리와 함께 완전히 신장을 절제하는 것입니다. 암덩어리가 크지 않아서 충분히 안전한 범위의 정상 조직의 경계를 확보할 수 있다면 암을 포함한 부분 절제술을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수술로 완전절제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 약물치료를 해 볼 수 있지만 반응률은 좋지 않습니다.
© 2010 www.doctorpark.or.kr 비뇨의학과 전문의 박성운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방광염 | drswp | 2022.11.11 | 13 |
12 | 미세혈뇨 (잠혈) | drswp | 2022.11.11 | 9 |
11 | 급성 전립선염 | drswp | 2022.11.11 | 11 |
10 | 정계정맥류 (덩굴정맥류) | drswp | 2022.11.11 | 5 |
9 | 전립선암 | drswp | 2022.11.11 | 15 |
8 | 음낭수종 | drswp | 2022.11.11 | 5 |
7 | 과민성 방광 | drswp | 2022.11.11 | 9 |
6 | 요로결석 예방 | drswp | 2022.11.11 | 5 |
5 | 요로결석 | drswp | 2022.11.11 | 8 |
4 | 급성 신우신염 | drswp | 2022.11.11 | 4 |
» | 신장암 (콩팥암) | drswp | 2022.11.11 | 7 |
2 | 방광요관역류 | drswp | 2022.11.11 | 3 |
1 | 방광암 | drswp | 2022.11.11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