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광주기독병원 비뇨의학과 전문의 박성운입니다

비뇨기 질환을 소개합니다

과민성 방광

2022.11.11 12:13

drswp 조회 수:9

과민성방광

 

- <O O 교회칼럼>
 

전 세계 인구가 점점 노령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년과 노년에 흔한 비뇨기 질환인 과민성 방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이란 갑자기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소변이 마렵거나 이와 더불어 다른 사람들보다 화장실에 더 자주 가고 밤에도 소변을 보기 위해 빈번히 일어나는 질환이다. 화장실에 바로 가지 못하면 소변을 참지 못해 옷이 적시기도 한다. 40세 이상 인구의 12~22%가 이 질환을 갖고 있으며 특히 75세 이상 고령은 30~40%나 갖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삶에 미치는 영향도 심각하여 어딜 가나 화장실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고 외출이나 여행이 화장실과 가까운 곳으로만 이뤄진다. 이는 자존감에 상처를 주며 자신감을 잃게 된다. 직장 생활과 운동 중에도 매시간 화장실에 가야하고 야간에도 충분한 수면을 이룰 수 없어 피로와 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된다.

 

 과민성 방광은 신경계통의 손상 혹은 방광 근육의 과민성 증가로 소변의 저장 능력이 감소되어 나타난다. 진단의 첫 단계는 병력 청취와 증상 평가이다. 이 때 동반 질환, 식생활 습관, 그리고 다양한 약물의 복용 여부를 확인받게 된다. 소변보는 양상을 점검해 볼 수 있도록 스스로 ‘배뇨 일기(Voiding Diary)’를 기록하면서 소변을 보는 시간과 양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수적 방법이다.

 증상 평가 후에는 신체 검사를 통해 신경계통 이상, 전립선 이상, 항문 괄약근 상태 등을 확인한다. 또한 요검사, 배뇨 후 방광 내 잔뇨량을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요류역학검사, 영상의학검사를 시행한다. 이런 과정 중에 과민성 방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 요로 감염, 전립선 비대증, 당뇨, 방광 종양 등도 감별하게 된다.

 

 과민성 방광 치료의 기본은 행동 치료이며 그 중 ‘방광 훈련’이 중요하다. 방광 훈련의 목표는 방광 용적을 증가시킴으로 방광에 대한 제어 능력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 치료를 위해 배뇨 일기를 작성하면서 배뇨 간격을 점차로 늘리는 훈련을 하게 된다.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도 중요한 행동 치료인데 방광을 자극하는 음식이나 이뇨 효과가 있어 자주 소변을 보게 하는 음식의 섭취는 줄여야 한다. 예컨대 커피, 녹차, 술, 초콜릿, 매운 음식, 탄산 음료, 옥수수 달인 물, 과일 주스, 설탕, 유제품, 인공 감미료, 호박이 함유된 음료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물리 치료를 통해 골반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도 치료 중 하나이다. 약 10초간 항문 괄약근육을 서서히 그리고 강하게 조인 후 약 10초간 힘을 빼는 것을 10회 정도 반복하며 이것을 하루에 세 번 하는 것이다. 골반 근육 강화 운동이 효과를 거두려면 끊임없이 운동하고자 하는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행동 치료 및 물리 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를 통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대표적 약물은 방광의 부교감 신경에 작용하여 불수의적 방광 수축을 억제하므로 방광 용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입마름, 변비, 인지기능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최근 개발된 약물은 부작용이 현저히 적어졌다.
© 2010 www.doctorpark.or.kr 비뇨의학과 전문의 박성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 방광염 drswp 2022.11.11 13
12 미세혈뇨 (잠혈) drswp 2022.11.11 9
11 급성 전립선염 drswp 2022.11.11 11
10 정계정맥류 (덩굴정맥류) drswp 2022.11.11 5
9 전립선암 drswp 2022.11.11 15
8 음낭수종 drswp 2022.11.11 5
» 과민성 방광 drswp 2022.11.11 9
6 요로결석 예방 drswp 2022.11.11 5
5 요로결석 drswp 2022.11.11 8
4 급성 신우신염 drswp 2022.11.11 4
3 신장암 (콩팥암) drswp 2022.11.11 7
2 방광요관역류 drswp 2022.11.11 3
1 방광암 drswp 2022.11.11 4